티몬, 위메프, 인터파크의 정산 지연 사태가 지속되면서 부도 의심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2023년 10월 큐텐의 정산 주기 변경 이후부터 발생한 이 문제는 2024년 7월까지 해결되지 않아 판매자들과 소비자들에게 큰 혼란을 주고 있습니다.
정산 지연의 배경
2023년 10월, 큐텐은 정산 주기를 변경했으며, 이후 판매자들에게 대금 정산이 지연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문제는 2024년 7월까지 지속되었고, 티몬, 위메프, 인터파크커머스를 포함한 여러 쇼핑몰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큐텐의 자회사 큐익스프레스의 나스닥 상장을 위한 무리한 확장이 대금 정산 지연의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큐텐의 문제 원인
큐텐은 여러 쇼핑몰을 인수하면서 만년 적자와 자본 잠식 상태에 빠졌습니다. 특히, 2024년 2월 13일 큐텐이 1억 7천300만 달러를 현금으로 지불해 위시를 인수하면서 티몬과 위메프의 정산금을 사용한 것이 문제를 키운 것으로 분석됩니다. 큐텐 계열사들은 담보나 신용도 없이 할인권을 팔아 선결제 대금을 자사의 매출로 주장해 왔습니다.
티몬과 위메프의 대응
티몬은 7월 22일 대금 정산을 무기한 지연한다고 선언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판매업체들이 구매 완료된 상품을 취소하게 되면서 일반 소비자에게도 문제가 알려졌습니다. 티몬은 10%가량 할인된 가격으로 계열사 상품권을 판매해 현금을 당겨오고 매출을 속이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7월 9일에는 티몬캐시를 10% 할인 판매하며 유동성 문제로 인한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소비자와 셀러의 피해
큐텐 계열사들은 할인된 상품권을 판매하면서 상품권의 현금화를 통해 상테크를 이용한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었습니다. 티몬은 7월 초 티몬 캐시를 할인 판매하며 페이코 포인트로 전환 가능하다고 홍보했으나, 이로 인해 부채는 더욱 커졌습니다. 상품권은 발행사가 선수금을 받고 나중에 정산하는 유가증권으로, 할인된 상품권은 사실상 이자가 붙은 채권으로 변모하게 되었습니다.
정부와 관련 기관의 대응
2024년 7월 18일, 공정거래위원회는 큐텐코리아 본사에 현장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당국을 통해 이커머스 정산 주기와 대금 보관 방식, 규모 등에 대한 점검을 시작했습니다. 7월 24일, 신용카드 결제를 대행하는 결제대행사들이 티몬에서 철수하여 모든 신용카드 결제 및 기존 결제 건 취소가 막혔습니다. 같은 계열사인 위메프에서도 결제 수단들이 순차적으로 사라지고 있으며, 인터파크만이 정상적으로 결제 기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기타 정보
큐텐 그룹은 7월 23일 티몬과 위메프에 8월 중 신규 정산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7월 24일 티몬 본사 문에 임시 휴업 안내문이 붙어, 셀러들과 소비자들 사이에서 먹튀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같은 날, KB국민은행과 SC제일은행이 티몬과 위메프 입점 셀러 대상 선정산대출을 일시 중단했습니다. 큐텐 모회사 및 산하 기업들이 퇴직연금에 가입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도 알려져 논란이 되었습니다. 티몬 홈페이지에는 관련 공지가 없으며 탈퇴를 시도하는 인원이 몰려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인터파크 티켓과 투어의 경우 야놀자의 자회사로 이번 사태와는 무관하다고 야놀자 측에서 발표를 하였습니다. 그런 발표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인터파크 티켓과 투어에서 환불 요청과 탈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티몬, 위메프, 인터파크의 정산 지연 사태는 판매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큐텐의 무리한 확장과 자금 운용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정부와 관련 기관의 조사와 대응이 어떻게 진행될지 주목됩니다.